繼善篇

 

계선편은 명심보감의 첫번째 편이다. 계선(繼善..선을 잇는다?)이란 말은 아마도 사람은 착한 본성을 타고난다는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을 전제로 한 듯하다. 즉 사람은 날 때부터 선한 본성이 있으며 이러한 본성을 교육을 통해서 악에 물들이지 않고 계속 지켜가자는 뜻에서 지은 편명(篇名)처럼 느껴진다. 대학(大學)의 첫머리에서도 대학의 도는 밝게 타고난 덕()을 더 밝히는데 있다”(大學之道,在明明德)라고 하였으니, 선한 본성을 이어간다는 것은 배움의 첫 목표로서 명심보감의 첫번째 편을 이룰 만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 편에서는 선악(善惡)에 관한 글귀들이 수록되어 있다. 그럼 과연 선은 무엇이고 악은 무엇인가? 그것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아마도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천성적으로 선악을 구분할 능력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子曰, 爲善者, 天報之以福爲不善者, 天報之以禍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을 행하는 사람은 하늘이 복()으로 갚고, 불선(不善)을 행하는 사람은 하늘이 화()로서 갚느니라.

 

(字義) 는 남자에 대한 통칭(通稱)이다. 특히 라고만 할 때는 주지하다시피 공자(孔子)를 지칭한다. 한문의 경우, 댓구를 이루어 쓰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도 不善, 의 대비로 두 문장이 댓구를 이룬다. 는 타동사로 “~을 하다. ~을 행하다의 뜻. “~~“~하는 사람, ~하는 것의 뜻으로 문장내에서 다른 말 뒤에 붙어서 명사구를 형성하여 의미의 한 단락을 이룬다. 따라서 끊어 읽는 구두점이 된다고 보면 된다. 여기서는 爲善者가 명사구로 의미의 한 단락을 이룬다. 는 갚을 보. 󰄤報恩(보은), 報復(보복), 報答(보답)

 

 

 

의 쓰임새에 대해서...

 

는 술어로는 “~에 가다” (갈 지)의 뜻이고, 어조사로는 우리말의 관형격 조사인 “~의 뜻이 있다. 어조사로서 또 하나의 쓰임새는 목적어대명사(지시대명사)로서의 를 들 수 있다. 한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글자가 바로 이 ()이지만 다소 그 쓰임새에 석연치 않은 구석이 있어서 이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흔히 를 목적어대명사로 보아 이것을,” “그것을등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이것만으로는 의 쓰임새를 온전히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만약 목적어대명사라는 명칭으로 불리워진다면, 앞에는 반드시 타동사만 와야 할 것이며, 또한 대명사로서 가 받는 목적어가 문장내에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오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원 게시자 파일 첨부

명심보감(원문, 해석, 풀이).hwp

 

'동양학 > 동양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의 제자들  (0) 2016.05.30
논어 원문  (0) 2016.05.30
시경 강의  (0) 2016.05.29
묵자의 철학, 정치, 경제, 도덕  (0) 2016.05.29
주역(周易 經) 64괘 이진수 괘사 효사  (0) 2016.05.29
Posted by 샤르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