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e-commerce 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어서, 다양한 플렛폼에서 판매할 수 있는 비즈니스 기회도 늘었습니다.  기성품 보다 소규모 수작업 헨드메이드 제품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사이트 들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이트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0.엣시 닷컴: 헨드메이드 아이템을 판매할 수 있는 글로벌 오픈 마켓중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습니다. 고객 충성도가 매우 높아 단골 고객의 DB가 어느정도 확보되면 지속적인 판매가 가능합니다. 가입절차는 다소 까다로운 편이며, 제조 작업실 또는 작품 또는 상품 제작 공정을 이미지로 찍어 놓고 제출해야합니다.  엣시의 인지도를 이용하여 상용품을 끼워 파는 경우 판매계정이 중지될 수 도 있으니 유의해야합니다. 

https://www.etsy.com/




 



1. 보낸자 닷컴 : 약 5백만개의 상품이 등록되어 있으며 패션 및 의류에 차별화 된 사이트 dlqslek.

http://www.bonanza.com/



2. 라스베가스에 헤드쿼터가 있으며, 2009년 출범이후 헨드메이스 아이템에 집중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거두었습니다.

http://www.craftisart.com/


3. 다완다는 영어외에 프랑스와 독일 사이트도 있으며, 판매자 중 아티스트 들이 많습니다. 유로와를 사용하며 유저 프렌들리 인터페이스가 돋보여서 판매 프로세스가 매우 쉽습니다. 

http://en.dawanda.com/



4. 아트파이어는 판매자 포럼이 가장 활성화 되어있는 플렛폼이어서 Creative 한 technique과 최신 유행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판매자만 상품을 올리는 것 뿐만아니라, '제품 찾기 및 구입 의뢰'를 할 수 있어서 구매 수요를 파악하기도 좋습니다. 

https://www.artfire.com/


5. 지벳은 e-commerce 오픈 마켓 쇼핑몰과 가장 비슷한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대부분 유료서비스입니다. 

https://www.zibbet.com/


5. 샵엔 메이드는 무료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며, 헨드메이드 용품이 메인입니다.  재활용을 촉진하는 캠페인도 진행하는 사회적(?)인 플렛폼입니다.  판매 기능이 제한적이긴 합니다만, 이런 사이트 단골 고객들은  화끈한거 아시죠?

http://www.shophandmade.com/


6. 메이드잇 마이셀프도 헨드메이드 용품을 주로하며, 다른 플렛폼 보다 위젯 기능이 다양합니다. 쿠폰 발행, 스토어 프론트와 블로그 연계를 통한 홍보기능이 돋보입니다. 

http://www.madeitmyself.com/

Posted by 샤르딘
,

일본 글로벌 이커머스 쇼핑몰 라쿠텐이 동남아시아 주요 시장인

싱가폴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에서 철수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결국 '검색율'을 포함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면 자본과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e-commerce도 실패할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이커머스 브랜드 인지도만 가지고 안일하게 운영하다가, 

오프라인 광고 등에 엄청난 비용을 투자한 라자다 같은 신흥 강자에게 무너져버린 모습니다. 

작년 8월 라자다가 4천8백만 조회수를 기록할때,  라쿠텐은 고각 4십만 조회수였다고 하네요.


[원문사이트 주소]

http://www.marketing-interactive.com/rakuten-shutdown-end-e-commerce-know/?utm_content=bufferedf47&utm_medium=social&utm_source=linkedin.com&utm_campaign=buffer


[기사원문]


17/02/2016 Wed 11:31 in Malaysia by Rezwana Manjur

Rakuten shutdown: End of e-commerce as we know it?  This week Rakuten made an announcement to shut down its operations in Singapore, Malaysia and Indonesia.





In a conversation with Marketing, a spokesperson from Rakuten explained that this was in line with its vision 2020 and global strategy of transformation of e-commerce.


“In SE Asia, as the market itself changes and adapts, we are looking toward C2C and mobile business models for e-commerce and other businesses,” read an added statement given to Marketing.


While e-commerce continues to grow in the region, today consumers are flooded with options as to which online marketplace service to use. Most of these players offer similar deals with very little areas of difference from competitors. So is this just a natural consolidation of e-commerce as we know it?


Linda Locke, marketing consultant at Club21 certainly deems it to be. She says today, too many e-commerce retailers think “build it and they will come” when they should be saying “make it special and they will come”.


There is a fallacy that e-commerce is a cheaper way to reach more customers but, in truth e-commerce is surprisingly expensive to run.

She added that going forward, more players will look to exceptional customer service and omni-channel presence, as well as omni media, to remain top of mind and be seen as exciting.


“Unique and differentiated product is still a must have and is far too underestimated. There also needs to be clever tie- ups to stimulate traffic and desire,” said Locke


“It is alarming and unfortunate that Rakuten is shutting its B2B2C e-commerce operations in the region,” said Prantik Mazumdar, CMO of Happy Marketer. However in the long –term, this might be a good move.


This is an early indication that a market correction is in the reckoning.

Moreover, there is talk in the market and media about the overvaluations of companies in the tech and e-commerce space.


Given the availability of “easy money”, many companies are now pushed to focus purely on exponential customer acquisition growth at the cost of profitability – which is not sustainable.


As the Federal Reserve increases its rates, growth slows down in China, and tech companies like LinkedIn see their stock prices slashed, there will be more uncertainty among investors. They might soon be pulling back from subsequent rounds of investments, forcing many more ventures without profitable business models to scale down.


This is a cyclical nature of the market and it was bound to happen sooner or later. Rakuten won’t be the last e-commerce player to shut or scale down operations in the region.

Moving into the next phase


Neeraj Gulati, managing director of Ingenuity at IPG Mediabrands said this is just the evolution the digital business model. E-commerce model evolved around taking an offline product and selling it online thereby making discovery and transaction easier and faster.


“Somehow it became synonymous with discounting for the customers and a race for transaction numbers(valuation) for the companies,” he said. Like Mazumdar he added these are signs of the next revolution in the commerce space where shopping will take a more contextual face.


In the near future, data from chat apps such as Viber and Whatsapp will blend seamlessly into services and products for sales.


“The new face of e-commerce is not just taking offline products and selling them online but using the data from the online space and customising the products and services for the user and making it relevant to that moment. It will become ‘data-commerce’,” he said.


Rajeev Bala, co-founder and CEO of Predator Digital Holdings added that smaller players will quickly see themselves squeezed out. He explained Rakuten has been a fringe player to date.


Quoting statistics from analytics site SimilarWeb, Bala added Rakuten’s Indonesia site barely managed 300,000 visits in August 2015, compared to 48 million for Lazada Indonesia – spelling out a crush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Nonetheless, the future of e-commerce as an industry in Southeast Asia continues to look bright, with significant room for growth. Moreover, the rapid adoption of mobile will also catapult the trend.


“The large players have moved quickly in terms of acquisition and advertising. Serious players need to work on getting scale quickly and focus needs to be razor sharp execution on all fronts from merchandising, acquisition, marketing to data,” said Bala.


He added:


Going forward, there will be a few niche players, but this is a game where scale is probably the only differentiation factor over time.

Posted by 샤르딘
,



해외 직구란 말 그대로 amazon.com 등의 영문 해외사이트에서 직접 구매하는 방법입니다.  


해외 직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검색해보니 엄청나게 많은 정보의 홍수내요. 그래서, 


간략히 요약해 봤습니다. 



우선,


www.amazon.com 의 경우 요즘은 한국으로 직접 배송이 되는 제품도 많이 있어서


신용카드 만 있으면 사이트 가입하고 직접 구매해서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한국으로 아마존셀러가 바로 보내주는 제품인지 아닌지는  


사이트 화면 왼쪽 부분 네비게이션 매뉴의 


International shipping 에서  'Ship to Korea, Republic of'를 찾아서 체크하면 됩니다. 


한국 배송 가능 아이템리스트에 뜨지 않는 아이템이더라도, 


셀러에게 간단하게, 


"Do you ship to South Korea?" 라고 메세지를 보내면


의외로 보내주겠다는 셀러도 많습니다. 그러면, 배송대행을 이용할 필요없이


신용카드로 결제만 하면됩니다. 







따라서 '한국으로 배송이' 된다면, 굳이 번거롭게 해외 직구 사이트를 이용할 필요없습니다. 


Amazon.com 에서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등록된 집주소로 날아옵니다. 



점점 더 많은 아마존 셀러들이 국제배송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그런데, 한국으로 배송이 안되는 제품을 구매하고 싶을 때가 문제 인데요. 


이때는 아래 도식과 같은 프로세스가 필요합니다. 






아마존에서 구입한 이후, 미국에 창고를 가지고 있는


배송대행 업체를 통해서 물건을 받아야 되는 것이지요.


더 쉽게 말하자면, 아마존에서 물건 주문하고 친구집 주소를 기입하여 물건을 받는 원리라고 할까요.


그런데, 친구가 없어 배송대행업체를 사용하면 업체에 수수료를 내야겠죠^^





검색해보시면 다양한 배송대행업체가 있습니다.  


몇 군데만 예를 들면,



위메프 박스

http://box.wemakeprice.com/box/guide/box_guide/box/2


몰테일

http://post.malltail.com/buy_guides/amazon_guide


지니집

http://www.geniezip.com/


에코트랜스

http://www.iecot.co.kr/


스마일 USA

뉴욕 걸스

http://nygirlz.co.kr/main/service/calculator_v3.php



등등입니다.  (위 업체들은 글쓴이와 아무런 비지니스 관계가 없습니다. 


혹시 위에 기술되기를 바라시는 배송업체관계자 분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추가하겠습니다.) 



직구를 자주하신다면 사이트별로 배송대행 가격을 비교해 보시면 좋겠지만, 


저는 가장 심플하고 예상가격을 예측해볼수 있는 사이트를 좋아합니다. 


뉴욕걸스는 아래와 같이 배송비를 미리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배송대행 미리계산 가능 업체]





12온즈 (약 400그람) 짜리 비타민제(24불)로 계산을 해보니 배송비 13,000원이 나오네요. 


다시말해 아마존에서 미국내 무료배송 24불짜리를 구매하고 


배송대행을 이용해 한국으로 배송받으면 13000원이 더 들어가는 것이죠~



 

 



Posted by 샤르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