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품 브램보 기본형 브레이크 패드는 가격이 사악하다.

참고로, 브램보 레이스용 고가형 패드는 저속에서는 밀린다. 최소 100킬로 이상으로 달릴 때 잘 잡힌다. 

35만 원대 메탈리코는 너무 잘 잡혀서 브레이크 잡으면 RPM을 완전 낮춰 버려서 아까울 정도다.

쥬크 같은 제품은 조금 밀리는데 쓸만한 정도다.

문제는 모든 바이크 부품이 그렇듯 가격이 너무 비싸다.

가성비 제품에 대한 정보는 찾기 힘들다. 

안전성과 성능만 좋다면 가성비 제품도 나쁘지 않다.

알리에서 S1000RR 앞 브레이크 가성비 패드를 찾아보았다.

개당 1~2 달러 수준의 초저가 패드도 있다. 실레토 패드라고 들어본 이름이다.

초저가 알리익스프레스 가성비 패드

 

Cyleto Motorcycle Front Rear Brake Pads for BMW S1000R 2010-2018 S 1000 R Naked K47 2014-2018 S1000RR K46 2010-2018 - AliExpres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www.aliexpress.com

 

시험삼아 앞 바퀴만 사용해 보았다. 저속에서 큰 차이는 느낄 수 없었다. 

다만, 지인 정비사에게 듣기를 패드와 금속판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너무 낮은 가격은 품질 검사 과정을 생략해서 단가를 낮출 수도 있으니 계속해서 사용하기는 좀 그렇다.

그래서 약 5~6만 원대의 패드도 같이 골랐다.

알리발 S1000RR용 브레이크 패드

가성비 S1000RR 브레이크 패드

 

10.79US $ 29% OFF|Mrrangt Motorcycle Metal sintering brake pad fit for BMW S1000R S1000RR S1000XR F800R F900R R NINE T RNINET GT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www.aliexpress.com

 

알리에서 주문하면 보통 일주일이면 온다.

매뉴얼에는 정품 패드가 아닌 경우 패드가 붙어 있는 금속판이 4.5mm 이상인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왜일까? 더 앒으면 부러지나? 더 자세한 설명은 없다.

아무튼 다른 패드를 사용해도 큰 관계가 없기 때문에 저런 설명이 되어 있는 것이다.  

 

유튜브에서 보니 브레이크 켈리퍼를 빼서 청소하고 다시 재부착할 때 조금 까다로운 것 같다.

바퀴를 돌리면서 브레이크를 잡아보고 캘리퍼 고정 볼트 앞 뒤를 조정하면서 조인다.

잘못하면 캘리퍼 고정 볼트가 잘 안 풀릴 수도 있다. 야마라도 나면 센터를 찾아다니는 고생이 시작된다. 

그런데, 앞패드에서 캘리퍼를 뜯지도 않고 패드만 쏙 패서 10분이면 장착이 가능하다는 유튜브가 자동 알고리즘으로 떴다.

아래 영상처럼 신박하다. 

캘리퍼 탈착하지 않고 브레이크 패드 교환하기 동영상

 

영상을 보자마자 바로 따라하기로 했다. 롱로즈 뺀치와 이중 간격 뺀치를 들고 지하주차장에 내려갔다.

현재 브램보 순정 패드가 장착되어 있는데 한 20% 정도 남은 것 같다. 

패드가 빠지지 않게 잡아 주는 고정핀과 고정핀을 잡아주는 스프링을 뺐다.

브레이크 켈리퍼 뭉치를 그대로 놔두고도 가능했다. 하지만, 영상과 달리 문제가 있었다.

패드를 밀어주는 피스톤이 들어가질 않는다.

이것을 최대한 집어넣어야 공간을 확보하여 새 패드를 넣을 수 있다.

다시 영상을 보니, 이 할아버지는 장갑 낀 손으로 그냥 집어넣는다. 도저히 그렇게는 되지 않는다. 

혹시나 하고 나무젓가락으로 힘을 줘서 밀어보니 약간 들어간 것 같다.

각도가 제대로 맞으면 나무젓가락으로도 약간 들어가는 느낌이 난다.

확보된 공간에 알리발 새 패드를 집어넣어보니 쏙 들어간다.

그렇게 왼쪽 앞패드 세 개는 무리 없이 들어갔다.

마지막 하나는 피스톤을 거의 1mm 이상 더 밀어 넣지 않으면 패드가 들어가질 않는다.

다행히 뺀치로 피스톤을 물어 누를 수 있었다.

간격을 늘릴 수 있는 뺀치에 켈리퍼와 디스크가 흠집 나지 않게 마른 수건을 잘 물리고

피스톤과 캘리퍼 본체를 살살 물었다. 들어간다!

같은 방식으로 오른쪽 패드도 모두 교환하였다. 

시험주행을 해보니 별 차이가 없다. 기존 패드가 약 20프로 정도 남아있는 상태에서 교환해서

그런지 브레이킹할 때 기존 패드와 거의 차이가 없다. 아니 느낄 수 없다.

그냥 잘 잡힌다. 한 달 정도 사용해 보고 패드를 빼서 다시 확인해 볼 생각이다. 

Posted by 샤르딘
,

 
등산화 중에 입소문만으로 본다면 국산 캠프*인 제품이 암벽화로도 손색이 없어서 경력이 어느 정도 있는 등산객들 사이에서는 최고로 쳐준다. 바위나 암벽 구간이 많은 우리나라 산에서는 돌 위에서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 등산화에 대한 수요가 높다. 그런데, 단점은 밑창이 금세 닳는다. 밑창갈이는 애프터서비스로 가능하지만 귀찮은 일이다.

비브람 밑창 가죽 겨울 중등산화


한편, 우리집 신장 안에 20년은 족히 넘을 이태리산이라는 태그가 붙어있는 코오롱 겨울 등산화는 대학 시절 지리산 종주를 여러 번 하고도 지금까지 거의 멀쩡하다. 밑창 바닥의 발톱 같은 홈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

무슨 차이일까? 요즘 등산화는 일이 년 열심히 신으면 바닥이 평편해지는 지경인데, 옛날 등산화는 그대로 인 게 의아함이 생겼다. 밑창을 자세히 살펴보니 비브람이라는 영문 로고가 쓰여 있다. 
결론부터 요약해 보자면, 비브람 브랜드의 밑창은 오래 신을 수 있고 견고하며, 바닥이 울퉁불퉁한 돌길 위를 지날때 나무판자 같은 견고함으로 바닥을 밀어내어, 발바닥으로는 바닥의 울퉁불퉁함을 느낄 수 없는 편안한 장점이 있다. 다만, 소재가 다른 위쪽 가죽과 비브람 밑창의 접착부위는 떨어질지라도 비브람 소재의 밑창 자체는 20년이 지나도 멀쩡하다. 그러나 비브람 등산화는 암벽 길을 릿지할 수 없다. 그냥 미끄러진다.
반면, 캠프*인 제품은 거의 미끄러지지 않는다. 어느 제품을 신어도 바위를 잡는 바닥 성능은 비슷하다. 캠프*인이라는 회사가 등산화 등의 등산 장비와 산악용품을 유통하다가 자체적으로 등산화를 개발했다고 한다. 추측하건대, 중국 등지에서 완제품을 소싱해서 유통하다가 시장규모가 커지자 자체적으로 이런저런 소비자 요구를 토대로 제조 개발하여 국내 소비자의 수요를 반영했을 것 같다. 그러다가 등산객들의 입소문처럼 바위 위에서 걸을 때에도 절대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이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으리라. 업체에게는 미안한 추측이지만, 타이어 등 산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저가 합성 고무 제품을 발판으로 쓰다가, 암벽화의 성능이 얻어 잡힌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신발 앞굽이 부드럽게 많이 휘어지고 탄성이 높은 특성을 가진 합성고무 제품이 밑창인데 이런 제품이 북한산 등의 암벽구간에서 잘 미끄러지지 않아 최고의 성능을 내는 릿지화로 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캠프라인 등산화 바닥이 거의 헤져서 애프터서비스가 귀찮아 또 사느니, 다른 제품을 사려고 인터넷을 검색해 보다가 이런저런 정보들을 주워 담아 내린 결론이다. 그러면 비슷한 중국산으로 보이는 초저가 등산화를 찾아서 암벽구간을 걸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쿠팡에서 가장 많은 리뷰가 달린 (약 2천여 개가 넘는다) 제품을 살펴보았다. 리뷰 중에 바위 위를 걸을 때도 미끄러지지 않는다는 표현을 찾았다. 빙고다! 바로 주문하였다. 등산화의 사이즈는 평소대로 운동화 보다 두 치수 큰 사이즈로 주문했다. 그런데, 제품을 받고 보니 너무 크다. 광고대로 무료 반품을 하고 한 치수 큰 사이즈로 재구매했다. 오후 한 시 반경에 택배가 도착하자 바로 신고 의상봉의 토끼바위까지 릿지 구간을 걸어 보았다.

 

대박이다. 캠프라인 제품과 암벽에서 미끌리지 않은 성능은 거의 동일하지만 가격은 이만 원대이다.(주말에 주문하면 4~5천 원 더 비싸다) 다만, 합성가죽이고 발의 양쪽을 잡아주는 견고함은 부족한 것 같다.  구매처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link.coupang.com/a/bcJBm0

 

유세븐 남성용 등산화 D002

COUPANG

www.coupang.com

 

 

*쿠팡파트너스 제휴활동의 일환으로 수수료가 본 블로거에게 지불될 수도 있다.

Posted by 샤르딘
,